출근길 지하철, 갑자기 퍼지는 가스 냄새와 통제 방송…
도심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가스누출 사고는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습니다.
예상치 못한 재난 상황 속에서 생명을 지키는 대피법, 지금 꼭 기억하세요.
지하철 가스누출 시 긴급 대피 요령
🔺 이상한 냄새(달걀 썩는 냄새 등)가 느껴지면 즉시 승강장 출입문에서 **역무원 방송**이나 **비상 안내 방송**을 확인하세요.
🚪 **출입문이 열려 있다면 신속히 외부로 대피**하고, **엘리베이터는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 **손수건·옷 등으로 코와 입을 막고** 낮은 자세로 움직이세요.
📴 스마트폰, 라이터, 전자기기 사용은 가급적 자제해야 합니다.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 **지하철 비상 대피 유도등(녹색 표시)을 따라** 지상 출구로 이동하세요.
사고 현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
✔ 구조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는 **출입문을 억지로 열지 말 것**
✔ **지하철 차량 내 비상 인터폰**으로 상황을 알리세요.
✔ 연기나 가스가 강할 경우, **객차 중앙보다 문 쪽이 더 위험**하니 상황을 판단해 이동
✔ **절대 뛰지 마세요.** 패닉 상황에서 사고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지하철 내 비상장비 위치 숙지
🧯 객차 내에는 비상용 손전등, 마스크, 망치 등이 구비돼 있습니다.
🗣 **비상용 인터폰**은 객차 양 끝, 출입문 옆에 위치해 있으니 평소 위치 확인해 두세요.
🚪 역사 내 대피문은 **유리문 안쪽**에 숨겨진 경우도 많으니 구조 지시가 중요합니다.
Q&A
Q1. 지하철에서 가스 냄새가 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즉시 역무원 방송에 귀 기울이고,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하세요. 스마트폰 사용은 피하세요.
Q2. 지하철은 공공장소인데도 전자기기 사용이 위험한가요?
맞습니다. 정전기나 작은 불꽃도 가연성 가스와 만나면 폭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자제해야 합니다.
Q3. 가스가 유입된 경우, 어디로 대피하는 것이 좋을까요?
가능한 빨리 지상 출구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며, 낮은 자세로 움직이면서 유도등을 따릅니다.
Q4. 아이와 함께 있는 경우 어떻게 행동해야 하나요?
아이를 꼭 안고, 말을 통해 침착하게 행동을 유도하세요. 뛰지 말고 조심히 이동해야 합니다.
Q5. 사고 이후에도 지하철을 타기 두려워요.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요?
평소 비상 대피 경로, 유도등, 인터폰 위치를 익혀두고, ‘안전디딤돌’ 앱으로 재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서울 지하철 사고 문의 전화번호
갑작스러운 지하철 사고, 놀란 시민들이 가장 먼저 찾는 것은 ‘정확한 안내’입니다.서울지하철 사고 발생 시 문의 가능한 전화번호, 이메일, SNS 채널 정보를 아래에 정리해드렸습니다.혼란을
enass12.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