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친 듯이 치솟는 물가에 식비마저 아껴야 하는 요즘, 대중교통 요금조차 아깝습니다.
그래서 2024년 정부가 국민들의 대중교통을 최대 20~53% 할인해 준다고 합니다.
이 혜택은 연간 최대 21만 6천 원까지 돌려줍니다. 나만 몰라서 손해 볼 수는 없겠죠? 여러분이 정부가 돌려주는 교통비 챙겨갈 수 있게 제가 도와드릴게요!
k패스 카드
정부가 5월부터 대중교통 요금 할인이 되는 k패스 카드를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대중교통 이용 횟수만 충족되면 이용횟수에 비례하여 요금의 일부를 돌려줍니다. 대중교통 이용이 많은 분들에게는 희소식입니다.
다시 말해 k패스를 사용하여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하면, 지불한 교통비를 다시 돌려받습니다. 지하철이나 버스만 타도 돈을 벌어가는 것이죠.
k패스 카드 신청방법
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korea-pass.kr)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K-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개의 카드사: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
k패스 카드 혜택
그럼 당신은 사용한 교통비를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이제부터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월 15회 이상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횟수 60회까지 사용한 금액만 돈을 돌려주고 61회부터는 환급되지 않습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만약 내가 매월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 원을 낸다고 생각해 봅시다.
위에서 언급한 교통비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을 각 계층별로 적용해 보겠습니다.
일반인은 1만 4천 원, 청년은 2만 1천 원, 저소득층은 3만 7천 원을 매월 할인받습니다. 이것을 1년 기준으로 계산하면 여러분은 엄청난 금액을 아끼게 됩니다. 무려 17~44만 원까지 돌려받습니다. 심지어 카드사의 추가 할인혜택(최대 10%)까지 고려하면 교통비 절감 효과가 어마어마합니다.
대상 |
적립률 |
다음 달 환급금액
|
일반 |
20% |
14000원 |
청년 |
30% |
21000원 |
저소득 |
53% |
37000원 |
*청년: 만 19세 ~ 만 34세
Q. 돌려받는 돈은 현금으로 받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현금, 마일리지, 카드공제 등 선택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Q.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도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어플을 통해 회원전환 신청을 하면 신규로 가입하지 않고 바로 k패스 카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Q. 일반 시내버스나 지하철에만 사용이 가능한가요?
A. 아니요. GTX-A, 광역버스 등에도 이용이 가능하여 장거리 출, 퇴근하는 사람의 부담을 덜어줍니다.
ㄱㄱ
k패스 대상
k패스에 참여하는 지역은 현재 176개 지자체에서 189개 지자체로 확대해서 더 많은 국민들이 대상자가 됩니다.
인구수 10만 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전국 모든 지자체가 사업에 참여하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요 참여 지역을 간단하게 보여드립니다.
현재 176개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광주, 부산, 대구, 울산 등 주요 지자체 모두 참여
추가 13개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음성, 진천, 보은, 영동, 증평, 괴산, 단양, 장성
본인지역이 참여 지역인지 미참여 지역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아래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기존의 교통카드처럼 k패스 1개로 참여하는 지역 어디서나 전국구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반응형